수업 복습!

안드로이드 수업을 마치며 2탄!

SeongukHeo11 2024. 2. 26. 17:26

 

추가로 더 정리할 내용이 있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!

 

1) 안드로이드 4대 구성 요소 중 Content Provider의 정의

콘텐츠 제공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실행되는 실행 단위, 즉 파일 시스템, SQLite 데이터베이스, 웹상이나 앱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영구 저장 위치에 저장 가능한 앱 데이터의 공유형 집합을 관리합니다.

작은 데이터들은 인텐트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지만, 콘텐츠 제공자는 음악이나 사진 파일과 같이 용량이 큰 데이터들을 공유할 때 사용합니다!

 

2) 안드로이드 4대 구성 요소 중 BroadCast Receiver의 정의

브로드 캐스터는 OS가 메시지를 받으면 실행되는 실행 단위, 즉 안드로이드 OS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와 정보를 받아와 핸들링하는 컴포넌트입니다.

브로드 캐스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지만, 상태 표시줄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알릴 수 있습니다

 

구성 요소 활성화 : 인텐트(Intent)

구성 요소 중 콘텐츠 제공자를 제외한 액티비티, 서비스, 브로드캐스터는 인텐트라는 비동기식 메시지로 활성화됩니다.

인텐트는 런타임에서 각 구성 요소를 바인딩하고.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4대 컴포넌트 간의 상호 통신을 위한 장치입니다.

컴포넌트에 액션이나 데이터를 전달하는데. 이것을 통해 다른 앱의 컴포넌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3) 사용했던 View 들의 특징

 

3-1. TextView (텍스트뷰)

텍스트뷰는 문자열을 표현합니다. 텍스트뷰의 문자열은 화면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는 문자열입니다.

 

3-2. EditText (에디트텍스트)

 문자열을 입력받는 위젯입니다.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3-3. Button (버튼)

클릭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버튼입니다. 앱을 사용하다보면 확인이나 취소버튼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.

 

3-4. CheckBox (체크박스)

사용자가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. '체크됨' '체크되지않음' 을 나타냅니다

 

3-5. Switch / ToggleButton (스위치 / 토글버튼)

스위치와 토글버튼은 모양만 조금 다를 뿐 용도는 거의 동일합니다. 스위치와 토글 버튼의 주 용도는 온/오프 상태표시입니다.

 

3-6. RadioButton (라디오버튼)

사용자가 여러 개 중에서 한 개만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

 

3-7. ImageView / ImageButton (이미지뷰 / 이미지버튼)

이미지뷰는 단순히 그림을 출력하는 기능을 하고, 이미지버튼은 버튼처럼 클릭하는 용도로 쓰입니다.

이미지버튼은 그림으로 표현된 버튼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.

 

4) 각 메뉴들의 특징     

--> Options Menu

화면 상단의 툴바의 흔히 점 3개로 볼 수 있는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Menu입니다.

 

--> Context Menu

View를 길게 눌렀을 때 나타나는 Floating Menu입니다.

 

--> Popup Menu

View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Floating Menu입니다.

 

5) 여러 메시징 도구들의 특징들

Toast : 잠깐 보여줬다가 사라지는 메시지 (어플 화면이 떠있지 않을 때 주로 사용)

 

SnackBar : 단말기 하단에 잠깐 보여줬다가 사라지는 메시지 (어플 화면이 떠있을 경우 사용)

 

Dialog :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야만 없어지는 메시지 (어플 화면이 떠있을 경우 사용)

 

Notification : 단말기의 알림 메시지 창에 나타나는 메시지 (메시지를 통해 어플 실행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